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윤정부도시재생2

윤정부 도시재생사업지 26곳 어디? 2027년까지 1조5천억원 투입 윤정부의 도시재생사업지 26곳 선정이 되었다. 도시재생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역점사업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여 지역일자리를 만들고 도시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윤정부 또한 도시재생의 기조를 이어간다고 볼수 있다. 총 26곳에 정부 예산이 들어가는 곳인 만큼 부동산 개발지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정부는 그간 도시재생사업이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생활 SOC(사회기반시설)를 획일적으로 공급하는 데 그쳤다며, 이번엔 유기농·화장품 등 지역 고유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도시재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경남 합천 등 도시재생사업지 26곳을 정했다. 사업비 선정된 곳에는 2027년까지 국비 2천660억원, 민간자본 2천580억.. 2023. 1. 10.
도시재생혁신지구의 역할, 의미 : 용산·천안·고양 성사동·구미공단 4군데 지정 정부는 2019년 12월 26일 제21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도시재생 혁신지구와 총괄사업관리자 뉴딜사업, 도시재생 인정사업 등의 시범사업지를 선정하고 2020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을 의결했다. 우선 도시재생혁신지구 용산·천안·고양 성사동·구미공단 지정되었다. 도시재생 혁신지구는 공공이 주도해 쇠퇴지역 내 주거·상업·산업 등 기능이 집적된 지역거점을 신속히 조성하는 지구단위 개발사업이다. 그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4군데 지정된 지역의 역할과 의미 사업비등을 살펴보겠다. 도시재생혁신지구의 역할, 의미 근거 법률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 도시재생혁신지구 사업면적 4배 확대 (최대 50만㎡→200만㎡) ◇ 주거재생혁신지구 사업면적 10배로 확대 (최대 2만㎡→.. 2023. 1. 9.
728x90
반응형
LIST